내가 가려고 적어 놓았던 메모장 여행지를 공유합니다.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는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에 있는 지질지형입니다. 2012년 9월 25일 천연기념물 제53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개요
포천 한탄강 현무암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는 한탄강 용암대지가 개석 되면서 형성된 현무암 협곡과 폭포로 그 주변에는 크고 작은 하식동과 주상절리, 판상절리, 협곡, 용암대지 등 포천-철원-연천지역의 지형 및 지질 형성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용암분출에 따른 침식기준면의 변동과 수계발달 간의 상호작용과 용암대지 내의 폭포 발달 과정을 알 수 있는 독특한 폭포지형으로 지형 / 지질학적 가치가 매우 큰 곳입니다.
상세
비둘기낭 폭포
한탄강 8경 중 하나입니다. 약 27만 년 전 용암 유출에 의해 형성된 현무암 주상절리 협곡에서 형성된 폭포입니다. 폭포는 지질 지형학적으로 하식동굴, 협곡, 두부침식, 폭포 등 하천에 의한 침식 지형을 관찰할 수 있고, 주상절리, 판상절리 등 다양한 지질구조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탄강에 흐른 용암의 단위를 한눈에 관찰할 수 있어 학술적으로도 가치가 있다고 합니다. 폭포의 명칭은 폭포 뒤 동굴에서 "수백 마리의 백비둘기가 둥지를 틀고 서식하였다"하여 둥지의 한자어인 "낭"을 붙여서 비둘기낭 폭포라 불립니다.
6.25 전쟁 당시에는 수풀이 우거지고 외부에 잘 드러나지 않아 마을주민의 대피시설로 사용되었고, 군인들의 휴양지로도 사용되었습니다. 20년 전까지만 해도 박쥐들의 서식지였으나 현재는 없어졌습니다. 한탄강 댐이 건설이 되면 물의 수위가 높아져 비둘기낭 포포가 사라질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있기도 합니다.
위치가 기묘하고 아름다워 추노와 선덕여왕, 무사 백동수, 최종병기 활 같은 사극에 등장하였습니다.
또한 한탄강 홍수터를 기반으로 캠핑장이 조성되어 있어 자연친화적 캠핑이 가능한 곳입니다.
여행팁
포천 한탄강 주상절리 길
1코스 구라이 길
하늘다리 - 비둘기낭 폭포 - 전망대(가람누리) - 제2하늘다리 - 운산리 캠핑장 - 운산리 생태공원
약 1시간 20분 (4km)
1코스는 전망대를 볼 수 있는 코스로 전망대 위에서 바라보는 전경과 일몰 후의 야경이 일품이며 한탄강 가까이 강변을 따라 걸을 수 있어 특별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2코스 가마소 길
비둘기 낭포 - 하늘다리 - 마당교 - 생태경관단지 - 중2리 마을회관 - 문암전망대 1,2 - 온로드 테마공원
약 1시간 40분 (5km)
2코스는 마당교를 건너 펼쳐지는 생태경관단지의 사계절 꽃 축제를 감상하며 산책하기에 좋은 길입니다. 10만 평의 대규모 야생화단지에는 메타세쿼이아길과 유채꽃 군락지가 있어 자녀와 함께하기 좋은 길입니다.
3코스 벼룻길
비둘기낭 폭포 - 하늘다리 - 테마파크 - 전망대(멍우리 협곡) - 벼룻교 - 부소천교
약 1시간 40분 (5km)
아이들이 좋아하는 테마파크를 지나면 한국의 그랜드 캐니언이라 불리는 멍우리 협곡이 있습니다. 작은 출렁다리들을 건너 다니며 멋진 장소에서 경관을 즐길 수 있는 최고의 둘레길 코스입니다.
4코스 멍우리 길
비둘기낭 폭포 - 하늘다리 - 대회산교 - 징검다리 - 멍우리교 - 멍우리2교 - 수변생태공원 - 화적연 캠핑장
약 2시간 40분 코스 (8km)
숲 속의 징검다리와 출렁이는 멍우리교를 지나면 다양한 체험을 즐길 수 있는 화적연 수변 생태공원이 시크릿 하게 위치하고 있습니다.
5코스 비둘기낭 순환코스
비둘기낭 폭포 - 하늘다리 - 4코스 멍우리 길 - 징검다리 - 전망대,멍우리 협곡 - 테마파크 - 하늘다리(원점)
약 2시간 (6km)
한탄강 주요 관광지와 주상절리길 주요 코스인 3,4코스를 모두 걸어볼 수 있는 비둘기낭 순환코스는 포천시가 강력 추천하는 코스입니다.
6코스 화적연길
화적연 캠핑장 - 냉정1교 - 내정2교 - 현무암 대교천 협곡
약 3시간 20분 (10km)
화적연(명승 94호)으로부터 북쪽 약 9km의 코스로 종점에서는 관인면 냉정리 1101번지에 위치한 현무암 대표천협곡(천연기념물 436호)을 만나 볼 수 있습니다.
한탄강 지질 공원
한탄강 지질공원은 우리나라 최초로 강을 중심으로 형성된 지질공원으로서 북한의 강원도 평강군에서 발원한 한탄강과 그 하류에 위치한 임진강 합수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한탄강과 임진강 일부 지역은 약 54~12만 년 전 화산 폭발로 인해 형성되었으며 그 당시 흐른 용암으로 인해 현무암 절벽, 주상절리와 폭포 등 다양하고 아름다운 지형과 경관을 갖게 되었습니다.
지질 명소
사계절 마르지 않는 철새들의 낙원 샘통(용출수)
지뢰밭이 지킨 평화의 숲 소이산(철원 용암지대)
거대한 암반을 넘어 거센 물이 수직으로 쏟아져내려 장관을 이루는 직탕폭포
철원의 옛 땅을 기억하는 외로운 바위 고석정
수차례 지워지고 굽어진 화강암 폭포의 물줄기 삼부연 폭포
겸재 정선도 지나치지 못한 비경 화적연 (명승 제93호)
하늘에서 떨어진 돌가루 지장산 응회암
한국의 그랜드 캐니언 멍우리 협곡과 비둘기낭 폭포(천연기념물 제537호)
동글동글 어금니 같은 포천 아우라지 베개 용암 (천연기념물 제542호)
한탄강 제일의 명소 재인폭포
폐채석장의 변신 아트밸리와 포천석
옛 한탄강과 지금 한탄강이 만나는 곳 백의리층 (미고결 퇴적층)
마을의 수호신 좌상바위
최고의 야외지질 학습장 은대리 판상절리와 습곡구조
남북 평화를 염원하는 협력의 시작점 철원평화전망대
한탄강 상류의 수직적벽 송대소
세계 고고학 교과서를 다시 쓰게 한 전곡리 유적 토층
<참고 자료: 한탄강지질공원 홈페이지, 나무 위키, 위키백과>